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며 관세 인상에 따른 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 화장품 분야 규제 강화 등이 우려됨. 무역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해 중기부는 중소기업 수출이 타격을 받지 않도록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 특히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에 대한 트럼프 정부 정책의 영향을 면밀하게 점검해 화장품 수출 성장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 중기부는 관련 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사항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
K-뷰티 발전을 위한 ‘22대 국회 K-뷰티 포럼’ 22일 출범.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만들어진 단체로 "글로벌 화장품 트렌드와 화장품 산업 현황 및 미래"라는 주제 세미나열려 이들은 입법부, 정부, 학계, 산업계 간 협력해 K-뷰티가 한류와 함께 성장하면서 한국 경제에 큰 기여를 한다며,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화장품 수출국가를 만들겠다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