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의 소셜미디어 스레드가 X의 모바일 DAU를 바짝 추격 중. 6월 스레드의 모바일 DAU는 1억 151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7.8% 증가한 가운데, X는 1억 3200만 명으로 15.2% 감소. 미국 이용자 기준으로도 스레드는 DAU 1530만 명, X는 2290만 명으로 격차 좁혀지는 중. 웹 방문 수는 아직 X가 우위이나, 스레드의 성장세와 메타 광고 생태계 연계 가능성에 주목. 한편 스레드의 공식 MAU는 3.5억 명이며, X는 비공식적으로 6억 명 추정.
최근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서 약국이 새로운 K뷰티 쇼핑 채널로 부상. 재생 크림, 여드름 치료제 등 의약 화장품(코스메슈티컬) 수요가 늘면서 병의원 인근 약국이 쇼핑 코스로 자리잡는 추세. 실제 외국인의 국내 의료 소비 중 약국 이용 비중은 61%로 최다, 피부과는 21%. 인기 제품인 노스카나겔, 리쥬비넥스 등은 SNS 바이럴로 품절 사태까지 발생. 약국 유통 전용 화장품도 판매량 급증하며 주요 제품은 1분기 기준 전년 대비 최대 62% 매출 상승. K뷰티 유통 채널이 올영 중심에서 약국, 전문 유통망으로 다변화되고 있다는 분석.